취미/악기

멀티이펙터와 컴퓨터(PC) 연결 관련 자주하는 실수, 질문

우주관리자 2022. 11. 24.

멀티이펙터와 컴퓨터(PC) 연결 관련 자주하는 실수, 질문

 

Q. 멀티이펙터를 PC에 USB로 연결했는데 PC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나요

 

멀티이펙터와 컴퓨터(PC) 연결 관련 자주하는 실수, 질문 - undefined - Q. 멀티이펙터를 PC에 USB로 연결했는데 PC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나요
USB 사운드 카드

멀티이펙터가 USB로 PC에 연결되면 멀티이펙터가 PC의 USB 외장 사운드 카드가 됩니다.

멀티이펙터의 아웃풋으로는 PC의 소리와 기타 소리가 함께 출력되게 되고요.

 

따라서 기존 PC에 연결되어있던 스피커에서는 소리가 안나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물론 기본 재생 장치를 기존 PC 오디오 장치로 설정하면 PC의 소리는 나옵니다)

 

별도로 준비하신 모니터링용 스피커가 없다면 기존에 PC에 연결되어있던 스피커를 분리하여멀티이펙터의 아웃풋 단자에 연결하시면 됩니다.(메인 아웃풋은 보통 Left, Right 구분되어있기도 하고 일반적인 PC 스피커와 다른 크기의 커넥터를 사용하므로 Phone 단자가 있다면 그것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USB를 통해 기타 소리를 실시간으로 녹음하시려면 별도의 DAW 프로그램이나 ASIO 지원 녹음 프로그램이 있어야 합니다.

 

 

Q. 멀티이펙터 소리가 너무 이상해요 (너무 쏘거나 너무 먹먹하거나)

 

멀티이펙터와 컴퓨터(PC) 연결 관련 자주하는 실수, 질문 - undefined - Q. 멀티이펙터 소리가 너무 이상해요 (너무 쏘거나 너무 먹먹하거나)

 

소리가 비정상적으로 이상하다고 느낄 때 (정상적인 기타 -> 앰프 출력의 소리가 대충 어떤 느낌인지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캐비넷(스피커) 시뮬레이션 OFF 상태로 일반 음악감상용 풀레인지 스피커에 연결했을 경우

기타에서 나오는 소리는 사실 엄청 듣기가 거북할 정도로 쏘는 소리가 많이 포함되어있는데

우리 귀에 익숙한 소리는 특정 대역이 비정상적으로 강조된 (나머지는 비정상적으로 낮아진) 기타 앰프, 엄밀하게는 기타 앰프용 스피커인 캐비넷에서 나오는 소리입니다.

멀티이펙터와 컴퓨터(PC) 연결 관련 자주하는 실수, 질문 - undefined - Q. 멀티이펙터 소리가 너무 이상해요 (너무 쏘거나 너무 먹먹하거나) - 1. 캐비넷(스피커) 시뮬레이션 OFF 상태로 일반 음악감상용 풀레인지 스피커에 연결했을 경우
음역대별로 반응이 고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인페를 통해 기타의 100% 원음을 입력받아서 (모노) 일반적인 스피커나 헤드폰 등으로 재생해보면
기타 앰프를 통해 듣는 소리와는 많이 다른 소리가 나오게 되죠.

일명 풀레인지 스피커라고 해서 기타 앰프처럼 특정 대역이 아니라 가청 주파수 대역을 전부 출력해주는게 일반적인 우리가 듣는 음악 감상용 스피커/헤드폰입니다. 

(FRFR스피커는 Full Range Flat Response 라는 뜻 그대로, 모든 범위에서 평탄한 응답을 목적으로 제작된 스피커입니다.

저렴한 음악 감상용 스피커는 실제 응답이 평탄하지 않겠지만, 태생은 FRFR을 목적으로 태어난 스피커이기도 합니다)

멀티이펙터와 컴퓨터(PC) 연결 관련 자주하는 실수, 질문 - undefined - Q. 멀티이펙터 소리가 너무 이상해요 (너무 쏘거나 너무 먹먹하거나) - 1. 캐비넷(스피커) 시뮬레이션 OFF 상태로 일반 음악감상용 풀레인지 스피커에 연결했을 경우
모든 음역대가 고르게 출력됩니다


제조사별로 음색이 다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다양한 사용자들의 취향에 맞추어 기본적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살짝 부스트 시키거나 깎아놓은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모니터링 스피커는 전체 주파수 대역이 평탄하게 유지되도록 노력을 기울인 제품입니다만 실제로 평탄한 주파수가 나온다는게 엄청 힘들다고 합니다)

 

그래서, 실제 우리가 듣는 음원 속 기타 소리는,
기타 -> 이펙터들 -> 실제 프리앰프 -> 실제 캐비넷(스피커) 앞에 마이크를 배치해서 녹음한 소리입니다 (예전에는 100% 이렇게 밖에 할 수가 없었죠)

물론 지금은 기술이 발전하여 기타 빼고 나머지 모두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흉내를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멀티이펙터와 컴퓨터(PC) 연결 관련 자주하는 실수, 질문 - undefined - Q. 멀티이펙터 소리가 너무 이상해요 (너무 쏘거나 너무 먹먹하거나) - 1. 캐비넷(스피커) 시뮬레이션 OFF 상태로 일반 음악감상용 풀레인지 스피커에 연결했을 경우
앰플리튜브의 앰프 및 캐비넷 + 마이크 시뮬

따라서 진짜 기타 앰프의 INPUT에 연결하여 소리를 듣는 상황이 아닐 경우 (집에 있는 일반 음악 감상용 PC 스피커 or 모니터링 스피커 등을 사용할 때) 반드시 멀티이펙터의 캐비넷(스피커) + 마이킹 시뮬 기능을 ON 시켜줘야 제대로 된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프리앰프단보다는 캐비넷+마이크 종류에 따라서 최종 기타톤의 반 이상이 좌우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캐비넷+마이크를 시뮬레이션한 것이 아닌, 실제 캐비넷+마이크의 주파수 응답을 역으로 이용하여 wav를 만든 후 입력된 모든 음원에 대해 그 wav 파형만큼 주파수가 바뀌도록 하는 방식의 IR (Impluse Response) 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워낙 변수가 많아서 - 마이크 위치 조절의 경우의 수도 마이크 두개만 섞어도 거의 무한대죠 - 그에 따른 IR 파일이 너무 많고 원하는걸 일일이 들어보고 골라야한다는 점이 초보자에게는 치명적인 단점이 되기도 합니다)

 

2. 캐비넷(스피커) 시뮬 ON 상태로 기타 앰프의 INPUT에 연결했을 경우

 

위의 상황과는 완전히 반대인 경우입니다.

모든 음역대의 소리가 있었던 원소스의 소리가 캐비넷 시뮬을 통과하며 기타 앰프만의 특색있는 소리로 변했는데 그 소리가 다시 한번 실제 앰프의 프리앰프를 거쳐 실제 캐비넷(스피커)를 거쳐서 나오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프리앰프는 제조사마다 다른 특징적인 착색이 이루어지는데 의도하지 않은 경우라면 시뮬이든 실제 기기이든 한번만 거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일부러 프리앰프를 추가적인 EQ나 부스팅 목적으로 겹쳐서 사용하는 등의 의도가 없는 경우라면

 

1) 멀티이펙터의 프리앰프와 캐비넷 시뮬은 모두 OFF 한 상태로 앰프 INPUT으로 연결하거나

 

2) 멀티이펙터의 캐비넷 시뮬만 OFF하고 앰프의 RETURN (프리앰프는 건너뛰고 바로 캐비넷으로 신호가 가는 통로)으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Q. 멀티이펙터(or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PC에 연결하여 헤드폰으로 들었는데 기타 소리에 딜레이(레이턴시)가 있습니다.

 

다시 첫번째 상황과 비슷한 경우입니다.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것 중 하나가 멀티이텍터(를 오디오 인터페이스 역할로 사용 중이므로 이하 오인페)를 연결했음에도 컴퓨터 내장 사운드를 통해 오인페로 입력된 소리를 들으려고 하는 부분입니다.

오인페는 말그대로 외장형 사운드 카드이므로 오인페 연결 순간부터 컴퓨터 내장 사운드는 잊어버려야 합니다.

오인페 연결 시 기본 재생/녹음 장치가 모두 오인페로 잡혀있어야 하며 기존 컴퓨터 스피커는 오인페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기타를 치지 않으더라도 모든 컴퓨터 소리는 오인페를 통해서 잘 나옵니다)

물론 일반적인 오인페는 RCA나 55단자로 Left/Right 나누어 입력이 필요하므로 기존 PC 스피커에 연결하기 위한 젠더가 필요할 것입니다.


오인페의 헤드폰 단자가 스테레오단자이니 3.5mm -> 55케이블 변환단자만 구해서 연결해도 헤드폰을 별도로 사용하지않는 환경에서는 사용에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멀티이펙터와 컴퓨터(PC) 연결 관련 자주하는 실수, 질문 - undefined - Q. 멀티이펙터(or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PC에 연결하여 헤드폰으로 들었는데 기타 소리에 딜레이(레이턴시)가 있습니다.

 

알고 보면 간단하지만 자주 혼동되는 내용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멀티이펙터를 사용한 기본적인 톤메이킹 방법, 공연장 또는 합주실의 기타 앰프 및 오디오 믹서에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